1. 오래 기억하려면 : 해마를 속여라!
- 꼭 필요한 정보인가? (해마가 계속 판단 -> 꼭 필요한 정보라 판단하면 장기 기억으로 넘김)
2. 해마가 중요한 정보로 착각하게 만드는 방법
- 열정적, 꾸준히, 반복적으로 정보를 입력
- 그래서 복습이 중요. 같은 정보를 반복하면 해마가 중요한 정보라 판단해 장기기억으로 정보를 넘김 (오래 기억하게 됨)
3. 뇌는 가능한한 빨리, 많은 정보를 잊도록 설계되어 있음.
- 우리가 기억을 못하는게 당연.
- 그럼에도 기억하고 싶다면 반복
4.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 시간이 지나면 기억의 정도가 낮아지게 됨을 보임. 반복해서 보면, 망각의 수준이 점점 낮아짐 (오래 기억하게 된다는 것)
5. 한달 안에 복습하라!
가. 가장 효율적인 복습 계획은?
- 복습 1회차 : 학습 다음날
- 복습 2회차 : 복습 1회차 1주일 뒤
- 복습 3회차 : 복습 2회차 2주일 뒤
- 복습 4회차 : 복습 3회차 1개월 뒤
6. 복습은 같은 내용의 학습을 반복하는 것이 좋음
7.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으며 공부하는것도 도움이 됨. (다른 음악은 아님)
8. 장기증강 만들기
가. '세타파' 나오게 하기 : 호기심, 재미있다고 생각하기
나. 편도체 활성화 : 편도체는 감정조절 중추 (감정공장)
- 감정이 격할 때 더 기억하기 쉬운 상태가 됨 (즐겁거나 슬프거나 공포감을 느낄 때의 기억이 선명하게 떠오르는 이유)
다. 공부에 적합한 시기 : 동물이 기억이 활성화 되는 시기
- 배고플때 : 저녁 식사 전 공복 상태가 공부에 최적
- 걸으면서 : 걷는 순간 해마에서 세타파 나옴
- 시원하게 : 조금 추운게 기억하는데 도움이 됨
9. 너무 어려운 것으로 공부 시작하지 말고 수준에 맞는 것으로 시작.
10.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고 점점 세부적으로 들어가라
11. 지식기억보다는 경험기억이 오래간다
- 지식기억 : 특정 계기가 있어야 떠오르는 것. 일반적으로 공부하면 지식기억 형태임.
- 경험기억 : 자신의 경험. 오래 기억됨.
12. 외우고 싶은 내용을 다른 내용과 연결지어(개인적인 감정, 주위 환경 등) 생각하기. (지식기억을 경험기억으로 만들어줌)
13. 공식 자체를 외우기 보다는 공식에 이르는 방법을 살펴라.
- 공식을 '응용하는 능력'을 익히는게 더 중요
"스스로 정보를 찾기 시작한 때에는, 수동적으로 정보를 얻을 때보다 10배 이상 강하게 신경세포가 활성화됩니다."
'문장,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생연후살타 : 남을 공격하기에 앞서 먼저 자신부터 살펴라 (0) | 2023.10.21 |
---|---|
(공유) 다른 사람이 버린 운을 줍는 방법 (0) | 2023.09.04 |
위대한 하키 선수는.. (0) | 2023.07.12 |
(공유) 어떻게 해야 부자가 되는가 (0) | 2023.07.10 |
주변과 비교하며 힘들 때 (0) | 202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