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A는 기업의 매출총이익(Gross Profit)을 총자산 (Assets)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GP/A는 기업이 보유한 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기업의 경영 성과와 관련이 있습니다.
1) 매출총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기업이 영업을 할 때 가장 최초로 계산하는 마진율
-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근원적인 이익에 가까운 성격 있음 (가장 깨끗한 수익성 지표)
2) 총자산 = 자기자본 + 부채
예를 들어, 기업 A와 기업 B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기업 A는 총매출액이 1조원이고 총자산이 2조원이며, 기업 B는 총매출액이 1조원이고 총자산이 3조원이라면, 기업 A의 GP/A는 0.5이고, 기업 B의 GP/A는 0.33입니다. 이 경우, 기업 A는 보유한 자산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GP/A는 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파악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P/A가 높은 기업은 적은 자본으로도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GP/A가 높다고 해서 모든 경우에 기업의 경영이 잘 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업이 보유한 자산의 구성이나 부채 상황 등 다양한 요인들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GP/A 지표를 분석할 때는 기업의 다른 지표들과 함께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728x90
'퀀트공부 > 자산배분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R (Price Selling Ratio, 주가매출액배수) (0) | 2023.04.01 |
---|---|
[자산배분] VA (Value Averaging) (0) | 2023.03.31 |
PBR (Price to Book Ratio) 주당순자산가치 (0) | 2023.03.31 |
[자산배분] 베타 (beta) : 종목의 주가 변동성이 시장의 움직임에 비해 얼마나 큰지. (0) | 2023.03.31 |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수익률 : 기업이 자본금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있는지 (0) | 2023.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