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컨테이너선 항로와 국제 운하
https://www.cello-square.com/kr-ko/blog/view-76.do
주요 컨테이너선 항로와 국제 운하 | Cello Square(첼로 스퀘어)
컨테이너선 항로, 국제운하 | 세계 주요 컨테이너선 항로와 파나마 운하, 수에즈 운하, 코린트 운하 등 주요 국제 운하를 소개합니다. | 첼로 스퀘어(Cello Square)
www.cello-square.com
2. 컨테이너선과 벌크선 특징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1207046635480672&mediaCodeNo=257
컨테이너선·벌크선 엇갈린 전망…이유는?
지난 2년간 코로나 19로 인한 해운 수요 급증과 운임 상승으로 호황을 누렸던 해운업계 분위기가 작년 하반기부터 달라지기 시작했다. 경기 침체에 따른 물동량 감소 영향이 컸다. 화물선은 크게
m.edaily.co.kr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로 규격화된 화물을 싣는다. 그러다보니 컨테이너선의 화물 용량을 뜻하는 TEU는 컨테이너를 뜻한다. TEU는 Twenty-foot Equivalent의 약자인데 말그대로 20피트 컨테이너를 말한다. 5000TEU는 컨테이너 5000개를 실을 수 있다는 얘기다.
컨테이너선은 대부분 정해진 항로를 따라 주기적으로 운행하는 정기선이 많다. 업계에서는 통산 컨테이너선을 ‘버스’로 표현한다. 컨테이너선의 대표적인 운임지수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이다. 전 세계에서 컨테이너선이 가장 많이 오가는 곳이 미국 서부 해안과 중국 상하이 사이의 항로이기 때문이다.
반면 벌크선의 경우 특정 화물 수요에 따라 정해지지 않은 항로를 오고가는 부정기선이 많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택시’로 비유한다. 주로 화주와 장기운송계약이나 공동운항계약을 맺거나 스팟(Spot,단기운송) 계약으로 이뤄진다.
벌크선은 대체로 곡물, 석탄, 광석 등 규격화되지 않은 벌크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화물선이다. 그래서 벌크선의 화물용량 단위도 DWT(Dead Weight Tonnage. 재화중량톤수)로, 컨테이너선과 다르다. 한 마디로 선박이 가라앉지 않고 실을 수 있는 최대한의 무게를 뜻한다.
대표적인 벌크선 운임지수는 발틱운임지수(BDI 운임지수)이다. 현재 런던에 있는 발틱 해운거래소에서 1991년부터 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벌크 화물을 운송하는데 드는 운임과 벌크선을 빌리는데 드는 용선료 등을 종합해 만든 지수로, 1985년 1월 운임 수준을 1000으로 기준점으로 하고 있다.
컨테이너선의 경우 공급 과잉 이슈가 있다. 해운 호황기에 선사들이 대거 발주했던 신규 컨테이너선들이 올해 2분기에 대거 투입될 예정이다. 물동량 확보를 위한 운임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이 크다.
벌크선 3대 화물인 철광석, 석탄, 곡물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수요가 늘어나면 건화물선 물동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벌크 해운의 경우 2024년까지 선박 공급 증가가 제한적이다.
- 출처 : edaily
3. 컨테이너선, 벌크선 차이점
https://m.ekn.kr/view.php?key=20220812010002291
`바다 위 버스와 택시`…컨테이너선·벌크선 차이점은?
[에너지경제신문 이승주 기자] 해운업계는 지난 1년간 호황을 누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이연소비로 물동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인..
m.ekn.kr
컨테이너선은 대부분 정해진 항로를 따라 주기적으로 운항하는 정기선이다. 대표적인 기업은 HMM으로 현재 유럽 항로와 미주 노선 등을 지나며 주요 항구에 정박하며 짐을 옮겨준다. 우리가 해외 배송으로 주문하는 대부분의 물건은 이 컨테이너선을 통해 한국으로 들어온다.
HMM은 총 20척의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보유하고 있는데 유럽 항로와 미주노선에 각각 12척(2만4000TEU), 8척(1만6000TEU)을 배치했다. 배치된 선박 수가 다른 이유는 유럽 항로는 한 바퀴 도는데 12주가 소요되고, 미주 노선은 8주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벌크선은 특정 화물 수요에 따라 정해지지 않은 항로를 오고가는 부정기선이 다수다. 주로 화물의 주인인 화주와 장기운송계약이나 공동운항계약을 맺거나 스팟(Spot) 계약을 통해 물건을 실어 나른다. 주로 대량의 석탄·광석·시멘트·곡물 등을 적재해 운항한다.
대표적인 기업은 팬오션으로 현재 포스코, 한국중부발전, 브라질 철광석 생산업체인 발레(Vale) 등 다수의 기업과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했고 한국가스공사와는 LNG 수송을 위한 공동운항계약을 맺었다.
벌크선은 화주와 운임을 합의만 한다면 적정 가격에 운항하기 때문에 ‘택시’로 불린다. 또 짧게는 10년 길게는 25년까지 맺는 장기운송계약을 통해 컨테이너선 보다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다.
- 출처 : 에너지경제
4.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종류
https://www.cello-square.com/kr-ko/blog/view-29.do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종류 | Cello Square(첼로 스퀘어)
컨테이너선, 벌크선 | 해상 국제운송에 있어 필수적인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종류 및 그 특징을 자세히 알아봅니다. | 첼로 스퀘어(Cello Square)
www.cello-square.com
- 출처 :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의 종류 | Cello Square(첼로 스퀘어) (cello-square.com)
'산업공부 > 조선해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 드라이벌크선 무역 흐름로. (0) | 2023.05.05 |
---|---|
해양플랜트 (0) | 2023.05.04 |
선종별 특징 정리 (0) | 2023.05.04 |
BDI 지수 변화 패턴 (0) | 2023.05.04 |
조선산업 공부 자료 - 사이트 링크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