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기 호황기 (2002년 - 2008년):
- 2002년: 한국은 IMF(국제통화기금)에 의한 긴축 정책과 구조조정을 통해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회복의 신호를 보임.
- 2003년 ~ 2007년: 경기 호조 기간으로 꾸준한 경제 성장과 수출 확대가 이루어짐.
-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의 영향으로 경기가 약화되고, 금리 인하와 경기 부양 정책이 시행됨.
2. 경기 수축기 (2008년 - 2009년):
- 2008년 하반기부터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경기가 급격히 침체되고, 금융시장이 휘청거리는 상황이 발생함.
- 2009년: 국내외 경기 부진으로 대규모 재정 출구 전략과 경기 부양 정책이 동시에 추진되며 경기가 위축됨.
3. 경기 호황기 (2009년 - 2011년):
- 2009년: 경기부양 정책과 정부의 경제 자금 투입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시작함.
- 2010년 - 2011년: 경기가 호조를 유지하고, 수출 확대와 내구재 수요 증가 등이 이루어짐.
4. 경기 수축기 (2012년 - 2013년):
- 2012년: 글로벌 경기 둔화와 외부 불확실성으로 경기가 약화되고 수출이 감소함.
- 2013년: 경기 부진이 지속되며 소비 심리와 투자 활동이 저하됨.
5. 경기 호황기 (2014년 - 2015년):
- 2014년: 내외부적 요인이 호조를 지속시키며 경기가 회복되기 시작함.
- 2015년: 경기 호조가 이어지고 수출이 증가하여 경제 성장이 이루어짐.
6. 경기 수축기 (2016년 - 2017년):
- 2016년 ~ 2017년: 세계 경제 불확실성과 내외부적인 요인으로 경기가 침체되고 수출이 감소함.
7. 경기 호황기 (2017년 - 2018년):
- 2017년: 수출 증가와 내수 확대로 경기가 호조를 보이며 경제 성장이 이루어짐.
- 2018년: 내외부 요인에도 불구하고 경기가 호조를 유지하고 수출이 성장함.
8. 경기 수축기 (2019년 - 2020년):
- 2019년: 글로벌 경기 둔화와 무역 분쟁 등으로 경기가 약화되고 수출이 감소함.
-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로 경기가 심각하게 수축됨.
9. 경기 호황기 (2021년):
- 2021년: 경기 부양 정책과 글로벌 경기 회복으로 경기가 회복되기 시작함.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 연금도 위아래가 있다 … 세율·금리 낮은 것부터 인출 (0) | 2023.12.10 |
---|---|
인플레이션 (0) | 2023.04.30 |
퀀트 전략의 허와 실 (0) | 2023.04.29 |
현재 상황 녹음자료 (0) | 2023.04.28 |
코스피, 코스닥 시가총액 추이 및 신용잔고 추이 (0) | 2023.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