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트공부/자산배분공부

PSR (Price Selling Ratio, 주가매출액배수)

시위를 벗어난 화살처럼 2023. 4. 1. 14:02

PSR (Prise Selling Ratio, 주가매출액배수)

PSR = 시가총액 / 매출액
PER과 비슷하게 기업의 저평가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다. PER을 따지는 투자자들은 기업의 순이익을 중요시하므로 기업들이 순이익을 조작하기 위해 많은 애를 쓴다. 
그러나 매출액은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PSR을 선호하는 투자자도 많다. 
PSR도 PER과 같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이다. 기본적으로 PSR이 높으면(낮으면) 현 매출은 적지만(많지만) 미래 수익 전망이 높아서(낮아서) 시장의 기대가 높다고(낮다고) 해석하면 된다. 
 
출처 : <할 수 있다! 퀀트투자> 강환국


PSR은 "Price-to-Sales Ratio"의 약어로, 주가 대비 매출액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 지표는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SR은 기업의 시가 총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로 계산됩니다.

PSR = 시가 총액 ÷ 매출액

예를 들어, B 회사의 시가 총액이 1억 달러이고, 지난 해의 매출액이 2억 달러인 경우, B 회사의 PSR은 다음과 같습니다.
PSR = 1억 ÷ 2억 = 0.5
이 경우, B 회사는 1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할 때마다 0.5달러의 주가를 가지고 있습니다.

PSR은 기업의 성장률, 산업 평균 등을 고려하여 분석되어야 합니다. 또한, PSR은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평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P/E 비율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PSR은 기업의 수익성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