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공부/금융산업

엔캐리트레이드

엔 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는 저금리 국가에서 자금을 빌려 고금리 국가에 투자하여 금리 차이로 수익을 얻는 금융 전략입니다. 이 전략에서 일본 엔화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일본의 장기적인 저금리 정책 때문입니다.

 

1. 배경
1980년대 후반, 일본은 플라자 합의를 통해 엔화가 강세를 보이게 되면서 경제 침체를 겪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본 정부는 제로금리 정책을 도입했으며, 이는 엔화의 금리를 매우 낮게 유지하게 했습니다.

 

2. 방법
 - 저금리 자금 조달: 투자자들은 일본에서 엔화를 저금리로 빌립니다.
 - 고금리 투자: 빌린 자금을 고금리 국가의 금융 상품(예: 채권, 예금)에 투자합니다.
 - 금리 차익 실현: 고금리 국가에서 얻은 이자 수익이 저금리로 빌린 자금의 이자를 초과하면, 그 차익이 투자자의 수익이 됩니다.

 

3. 리스크 :

가. 환율 변동 위험
엔 캐리 트레이드는 일본의 저금리 엔화를 빌려서 고금리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엔화의 가치가 상승하면 빌린 자금을 상환할 때 더 많은 엔화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에게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며, 엔 캐리 트레이드의 주요 위험 요소 중 하나입니다


○ 초기 상황:

투자자가 일본에서 엔화를 빌립니다. 당시 엔화의 가치가 1달러에 100엔이라고 가정합니다. 투자자는 1억 엔을 빌려 100만 달러를 확보하게 됩니다.

  투자:

이 100만 달러를 미국의 고금리 자산에 투자합니다. 이 자산에서 연 5%의 이자를 받는다고 가정합니다.
상환 시점: 1년 후, 투자자는 5만 달러의 이자를 벌어 총 105만 달러를 보유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엔화의 가치가 상승하여 1달러에 90엔이 되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환전:

105만 달러를 다시 엔화로 환전해야 합니다. 1달러에 90엔이므로, 105만 달러는 9450만 엔이 됩니다.
손실 발생: 초기 빌린 1억 엔을 상환해야 하므로, 550만 엔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나. 유동성 위험
엔화 강세로 인해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청산되면,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대규모 자금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이는 증시 급락과 같은 유동성 충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 시장 변동성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청산될 때, 특히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청산이 이루어지면,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위험을 초래합니다

 

============

 

참고. 캐리트레이드

https://beta.goover.ai/report-detail/go-public-report-ko-12c2f033-4e21-4bf5-8e41-99c9bfffdf4d-0-0

 

Goover

Goover.ai is a cutting-edge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that provides users with human-level content understanding through its unique neuro-symbolic AI brain. Our AI brain is designed to read and understand information just like you do, ensuring that y

beta.goover.ai

 

목차
  1. 요약
  2. 캐리 트레이드의 정의 및 기본 원리
  3. 앤 캐리 트레이드: 현황과 영향
  4.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 현황과 영향
  5. 결론

1. 요약

  • 이 리포트는 캐리 트레이드의 개요와 금융 시장 및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특히 일본 엔화를 활용한 앤 캐리 트레이드와 중국 위안화를 활용한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의 사례와 현황을 중심으로 주요 동향과 규모, 달러와 원화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습니다. 캐리 트레이드는 금리 차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투자 전략으로, 최근에는 앤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과 위안화 강세 등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이 리포트는 이를 통해 투자자와 경제 정책 입안자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며 글로벌 경제 동향을 이해하는 데 기여합니다.

2. 캐리 트레이드의 정의 및 기본 원리

  • 2-1. 캐리 트레이드의 정의
  • 캐리 트레이드는 고금리 통화에 투자하기 위해 저금리 통화를 조달하여 금리 차이로 인한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 전략입니다. 이는 각국 간의 금리 차이를 활용하여 수익을 얻는 방식이며, 주로 외환 시장에서 행해집니다. 캐리 트레이드를 통해 투자자는 저금리 통화를 매도하고 고금리 통화에 투자하여 이익을 추구합니다.
  • 2-2. 캐리 트레이드의 기본 원리
  • 캐리 트레이드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투자자는 저금리 통화(예: 일본 엔화를 조달)로 환전 후, 고금리 통화(예: 미국 달러)에 투자합니다. 이 경우에는 저금리 통화와 고금리 통화 간의 금리 차이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얻게 되며, 환율 변동에 따라 추가적인 수익이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기준금리(0.25%)로 엔화를 조달하여 달러로 환전한 후 미국의 기준금리(5.25%)를 수취하는 경우 연 5%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환율이 어떻게 변동하느냐이 따라서 수익이 결정됩니다.
  • 2-3. 캐리 트레이드의 기본 조건
  • 캐리 트레이드의 실행을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 조건이 있습니다: 첫째, 저금리 통화와 고금리 통화 간의 금리 차이가 유의미해야 하며, 둘째, 투자자가 환율 변동에 따라 손실을 감수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높은 유동성과 안정성을 가진 통화 쌍에서 캐리 트레이드가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캐리 트레이드의 수익성이 낮아질 위험이 존재합니다.

3. 앤 캐리 트레이드: 현황과 영향

  • 3-1. 앤 캐리 트레이드의 정의 및 기본 원리
  • 앤 캐리 트레이드는 저금리 통화를 조달하여 고금리 통화에 투자하여 금리 차이를 통한 수익을 노리는 투자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일본의 기준금리(0.25%)로 엔화를 조달한 후 이를 달러로 환전하여 미국의 기준금리(5.25%)를 수취함으로써 연 5%의 수익률을 얻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엔·달러 환율이 하락하면 캐리트레이드 전략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캐리트레이드는 유의미한 수익률을 기록하기 어려운 이유는 고금리 통화의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통화 가치가 절하되고, 금리 차이가 환율 변동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입니다.
  • 3-2. 앤 캐리 트레이드의 최근 동향
  • 최근 JP모건의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캐리 트레이드의 75%가 청산되었으며, 이는 정상보다 두 배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고 합니다. 이 사건은 특히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과 동시에 발생하였고, 이는 블랙먼데이와 같은 금융 시장의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은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기조와 일본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 결정이 맞물리면서 더욱 두드러진 현상입니다.
  • 3-3. 앤 캐리 트레이드의 규모 추정
  • JP모건에 따르면, 연초 이후 캐리 트레이드에서 발생한 수익률은 사실상 사라졌으며, 이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은 과거 동안 상당한 규모의 자본이 이동했음을 나타내며, 향후 금융 시장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더욱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 3-4. 엔화 및 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
  •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이루어지면서 엔화는 급격히 강세를 보였으며, 이는 투자자들에게 질문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현 시점에서 엔캐리 트레이드의 청산이 모두 종료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존재하며, 이는 엔·달러 환율 변동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엔·달러 환율 상승(엔화 가치 하락) 상황에서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반면, 환율이 연 5% 이상 하락(엔화 가치 상승)하게 되면 캐리트레이드 전략은 손실을 보게 됩니다.

4.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 현황과 영향

  • 4-1.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의 정의 및 기본 원리
  •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는 낮은 금리의 통화인 위안화를 빌려 고수익 자산에 투자하여 차익을 추구하는 금융 전략입니다. 이 전략은 일반적으로 금리가 낮은 국가에서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고금리 국가의 자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4-2.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의 최근 동향
  • 최근 위안화 강세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당국이 금 수입 제한 완화 및 위안화 환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중국 인민은행은 2023년 8월 26일, 위안-달러 기준환율을 0.31% 올린 7.1139위안으로 고시하였으며, 위안화는 8월 들어 1.3% 상승하여 7.12위안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급격한 청산 우려가 증대하고 있습니다.
  • 4-3.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의 규모 추정
  • 현재 위안화를 빌려 8개 신흥시장 통화에 투자하는 캐리 트레이드는 이번 분기 0.5%의 수익률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엔 캐리 트레이드가 7% 급락한 것과 비교되는 수치로,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는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 4-4. 위안화 및 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
  • 위안화 강세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의 대량 청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금융시장에 충격을 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위안화의 지속적인 강세는 수출 경쟁력 저하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또한,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특성을 지니며, 중국 정부가 외화 유출입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규모가 자동으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5. 결론

  • 이 리포트는 캐리 트레이드의 기본 원리와 앤 캐리 트레이드,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며, 그 결과 금융 시장과 환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합니다. 앤 캐리 트레이드에서는 최근 일본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대부분이 청산되었고, 이는 엔화 강세와 금융 시장의 변동성을 초래했습니다. 반면,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는 중국의 통화 완화 정책으로 인해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리포트의 한계로는 캐리 트레이드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 예측이 어렵다는 점과 통화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가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철저한 분석과 위험 관리가 필요하며, 경제 정책 입안자들은 보다 신중하고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됩니다. 미래 전망으로는 캐리 트레이드가 금융 시장의 주요한 요소로 남아 있지만, 대외 경제 변수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6. 용어집

  • 6-1. 캐리 트레이드 [투자 전략]
  • 투자자들이 금리가 낮은 국가에서 자금을 차입하여 금리가 높은 국가의 자산에 투자해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캐리 트레이드는 금리 차이와 환율 변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며, 금융 시장과 환율 변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6-2. 앤 캐리 트레이드 [투자 전략]
  • 일본의 저금리 상황을 활용해 엔화를 빌리고 고금리 국가의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최근 일본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많은 앤 캐리 트레이드가 청산되었습니다.
  • 6-3. 위안화 캐리 트레이드 [투자 전략]
  • 중국 위안화의 낮은 금리를 이용해 자금을 조달하고 고수익 자산에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중국의 통화 완화 정책으로 인해 현재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7. 출처 문서

728x90

'산업공부 > 금융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레포(Reverse Repurchase Agreement, RRP)  (0) 2024.08.08
레포(Repo) "Repurchase Agreement"  (0) 2024.08.07
보험업 리포트  (0) 2023.06.22
증권업 리포트  (0) 2023.06.22
금융 관련기업  (0) 2023.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