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화설비는 정유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설입니다.
## 고도화설비의 정의
고도화설비는 원유 정제 과정에서 생산되는 저부가가치 중질유(벙커C유, 아스팔트 등)를 고부가가치 경질유(휘발유, 등유, 경유 등)로 전환하는 시설입니다.
## 주요 특징
1. **목적**: 중질유를 경질유로 전환하여 부가가치를 높입니다.
2. **별칭**: '지상유전'이라고도 불립니다.
3. **주요 공정**:
- FCC(Fluid Catalytic Cracking): 촉매를 이용해 중질유를 휘발유로 분해
- HCR(Hydrocracker): 수소를 첨가하여 중질유를 등유와 경유로 전환
4. **환경 친화성**: 탄소 배출이 많은 중질유를 고품질 경질유로 변환하여 친환경적입니다.
## 경제적 의의
1. **수익성 개선**: 저가의 중질유를 고가의 경질유로 전환하여 정유사의 수익성을 높입니다.
2. **고도화율**: 전체 정제 설비 중 고도화 설비의 비중을 나타내며, 높을수록 정제 마진이 향상됩니다.
3. **경쟁력 지표**: 정유사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 국내 현황
국내 주요 정유사들은 고도화설비 확충에 큰 투자를 해왔습니다. 2018년 기준 고도화율은 현대오일뱅크 40.6%, GS칼텍스 34.3%, S-OIL 30%, SK이노베이션 29.2% 수준입니다.
고도화설비는 정유 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원유 가격 변동과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그러나 최근 ESG 경영 강조로 인해 추가 투자가 주춤한 상황입니다.
Citations:
[1] https://kayd-breakjob.tistory.com/36
[2] https://m.ekn.kr/view.php?key=83004
[3] https://dic.hankyung.com/economy/view/?seq=6661
[4]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life-product-heavyoil/
[5]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72611271581064
[6] https://blog.naver.com/yong940153/221363058527
[7]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32131
[8] https://www.petroleum.or.kr/industry/story_2_4
================
고도화설비의 주요 공정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1. 수소첨가분해공정(HCR: Hydrocracker)
- 중질유에 수소를 첨가하여 등유와 경유를 생산합니다.
- 고온, 고압 하에서 수소와 촉매를 이용해 중질유의 큰 분자를 작은 분자로 분해합니다.
2. 유동층촉매분해공정(FCC: Fluid Catalytic Cracking Unit)
- 촉매 반응을 통해 중질유를 휘발유로 분해합니다.
- 주로 휘발유와 프로필렌 생산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이 두 공정은 모두 저부가가치의 중질유를 고부가가치의 경질유로 전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정유사들은 수익성을 개선하고 환경 규제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고도화설비는 탄소 배출이 많은 중질유를 고품질의 경질유로 변환하기 때문에 친환경 시설로도 평가받고 있습니다.
Citations:
[1] https://blog.naver.com/yong940153/221363058527
[2] https://kayd-breakjob.tistory.com/36
[3] https://m.ekn.kr/view.php?key=83004
[4]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life-product-heavyoil/
[5] https://dic.hankyung.com/economy/view/?seq=6661
[6]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83
[7] https://www.knoc.co.kr/sub11/sub11_7_1_2.jsp
[8] https://www.gscaltex.com/kr/business/productionbase
=====================
고도화설비에서는 주로 휘발유, 경유, 등유와 같은 고부가가치 경질유 제품을 생산하지만, 윤활기유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윤활기유 생산과 관련된 고도화설비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 윤활기유 생산 과정
1. **원료**: 고도화설비에서 처리되는 중질유 중 일부가 윤활기유 생산에 사용됩니다.
2. **수소화 분해**: 중질유를 수소와 함께 고온, 고압 상태에서 처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분자 구조를 개선합니다.
3. **이성화 공정**: 수소화 분해된 제품을 추가로 처리하여 저온 유동성과 점도 지수를 향상시킵니다.
## 고도화설비와 윤활기유 생산의 연관성
1. **부가가치 창출**: 윤활기유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고도화설비를 통해 생산함으로써 정유사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품질 향상**: 고도화 공정을 거치면서 불순물이 제거되고 분자 구조가 개선되어 고품질의 윤활기유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3. **유연한 생산**: 시장 수요에 따라 경질유와 윤활기유 생산 비율을 조절할 수 있어 경영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고도화설비는 주로 경질유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윤활기유 생산도 가능한 다목적 설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정유사들은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Citations:
[1] https://kayd-breakjob.tistory.com/36
[2] https://dic.hankyung.com/economy/view/?seq=6661
[3]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life-product-heavyoil/
[4] https://www.gscaltex.com/kr/business/productionbase
[5] https://blog.naver.com/yong940153/221363058527
[6] https://www.petroleum.or.kr/industry/story_2_4
[7] https://www.knoc.co.kr/sub11/sub11_7_1_2.jsp
[8] https://namu.wiki/w/%EC%A4%91%EC%9C%A0
===================
중유의 가격이 상승하면 고도화설비의 가동률은 일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1. **경제성 악화**:
- 중유 가격이 상승하면 고도화설비의 원료 비용이 증가합니다.
- 이는 고도화 공정의 수익성을 떨어뜨립니다.
2. **마진 축소**:
- 중유와 경질유 제품 간의 가격 차이(마진)가 줄어들면 고도화 공정의 경제적 이점이 감소합니다.
3. **대체 용도 증가**:
- 중유 가격이 오르면 발전소나 선박 연료 등으로 직접 판매하는 것이 더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
4. **시장 상황 대응**:
- 정유사들은 시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생산 전략을 조정합니다.
- 중유 가격 상승 시 고도화설비 가동을 줄이고 다른 공정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5. **투자 결정 영향**:
- 장기적으로 중유 가격이 높게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면, 새로운 고도화설비 투자 결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도화설비는 여전히 정유사의 중요한 경쟁력 요소입니다. 중유 가격 변동에 따라 일시적으로 가동률이 조정될 수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도화설비는 정유사의 유연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핵심 자산으로 여겨집니다.
Citations:
[1]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32131
[2]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3248
[3]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72611271581064
[4]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column/global-refinery-capacity/
[5]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83
[6] https://m.ekn.kr/view.php?key=83004
[7] https://dic.hankyung.com/economy/view/?seq=6661
[8] https://kayd-breakjob.tistory.com/36
===============
고도화설비 투자가 정유사의 영업이익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익성 개선:
- 에쓰오일의 경우, 고도화설비 투자 이후 영업이익이 증가했습니다[1].
- 고도화율이 높을수록 부가가치가 높은 경질유(휘발유, 등·경유) 생산량이 증가하여 배럴당 정제 마진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2].
2.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
- 국내 정유사들은 고도화설비 투자로 고부가 제품 비중 확대 시점에 도달했습니다[1].
- 이는 정유사업의 수익성을 개선하고 사업 구조를 다각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3. 실적 변동성 완화:
- 올레핀 계열 제품 확대를 통해 석유화학 부문의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실적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1].
4. 중장기적 실적 개선:
- 에쓰오일의 경우, RUC/ODC 설비 가동률이 점차 올라가면서 중기적으로 양호한 실적 기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1].
5. 환경규제 대응:
- IMO 2020 시행 등 환경규제에 대응하여 고도화 설비가 잘 갖춰진 정유사들의 수혜가 전망됩니다[1].
6. 투자 규모와 효과:
- 에쓰오일은 2015년부터 2018년 사이 약 4조 8천억 원을 고도화설비에 투자했으며, 이로 인해 고도화비율이 20%대에서 30%대로 상승했습니다[1].
이러한 영향들로 인해, 고도화설비 투자는 정유사의 영업이익을 중장기적으로 개선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규모 투자로 인한 부채비율 상승 등의 단기적인 부담도 있을 수 있습니다.
Citations:
[1]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32131
[2]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83
[3]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72611271581064
[4] https://m.ekn.kr/view.php?key=83004
[5] https://dic.hankyung.com/economy/view/?seq=6661
[6] https://www.todayenergy.kr/news/articleView.html?idxno=23248
[7] https://kayd-breakjob.tistory.com/36
[8] https://ssl.pstatic.net/imgstock/upload/research/company/1714433424319.pdf
'산업공부 > 석유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유 - CDU(Crude Distillation Unit, 상압증류장치), 고도화설비 (0) | 2024.10.14 |
---|---|
글리세린 + 염소 = ECH (0) | 2024.09.09 |
석유화학 관련 강의 동영상 (0) | 2023.06.26 |
정유 화학 산업 기초. 유안타증권 (0) | 2023.06.20 |
국제 유가 추이 : WTI, 브렌트유, 두바이유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