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U는 Crude Distillation Unit의 약자로, 원유 증류 장치 또는 상압증류장치를 의미합니다. 정유 산업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공정입니다[1][2].
## CDU의 주요 특징
- **목적**: 원유를 끓는점에 따라 다양한 석유 제품으로 분리합니다[1].
- **작동 원리**: 원유를 370°C 내외로 가열한 후, 증류탑에서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분별 증류합니다[1].
- **생산물**: LPG, 나프타, 항공유, 등유, 경유, 중유 등 다양한 석유 제품을 생산합니다[1].
## CDU 공정의 중요성
1. **기초 공정**: 정유 공장의 가장 기본이 되는 공정으로, 후속 공정의 원료를 제공합니다[1][2].
2. **효율성**: 원유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상압 잔사유(AR)를 생산하며, 이는 고도화 공정의 원료로 사용됩니다[2].
3. **경제적 가치**: CDU를 통해 분리된 제품들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일부는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전환됩니다[2].
CDU 공정은 정유 산업의 시작점으로, 원유를 현대 사회의 필요에 맞는 다양한 제품으로 분별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와 같이 석유 자원이 없는 국가도 뛰어난 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석유 제품을 수출하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었습니다[2].
Citations:
[1] https://enertravel.tistory.com/entry/5-CDU-%EA%B3%B5%EC%A0%95-%EC%83%81%EC%95%95%EC%A6%9D%EB%A5%98%EA%B3%B5%EC%A0%95
[2]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encyclopedia/video-ar-cracker-201912/
[3] https://enertravel.tistory.com/entry/%EC%9B%90%EC%9C%A0-%EC%A0%95%EC%A0%9C-%EA%B3%B5%EC%A0%95-%EC%84%9D%EC%9C%A0-%EC%83%9D%EC%82%B0-%EA%B3%B5%EC%A0%95-%EC%A2%85%EB%A5%98-%EC%9B%90%EB%A6%AC%EC%99%80-%EA%B0%9C%EB%85%90-%EC%A0%95%EB%A6%AC
[4] https://huge-economy.tistory.com/119
[5] https://esgandeconomy.com/%EC%84%9D%EC%9C%A0-%ED%99%94%ED%95%99-%ED%86%BA%EC%95%84%EB%B3%B4%EA%B8%B0-%EC%83%81%EC%95%95%EC%A6%9D%EB%A5%98%EA%B3%B5%EC%A0%95cdu/
[6] https://plant-engineer.tistory.com/5
[7] https://blog.naver.com/sayrdk/40193360168
[8] https://blog.naver.com/afracsax/150178156274?viewType=pc
======================
고도화공정은 정유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공정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정의**
- 원유 정제과정에서 나오는 저가의 중질유(예: 벙커C유, 아스팔트)를 고부가가치의 경질유 제품(예: 휘발유, 등유, 경유)으로 전환하는 공정입니다[1][2].
2. **목적**
- 값싼 중질제품을 더 비싸고 수요가 많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만들어 정유사의 수익성을 높이는 것입니다[1].
3. **주요 방식**
- 접촉분해(FCC): 촉매를 사용하여 중질유를 분해합니다[2].
- 수소첨가분해(HCR): 수소와 촉매를 이용해 중질유를 분해합니다[2][3].
4. **중요성**
- 정유업계에서는 '고도화율'이라는 지표를 사용하여 전체 정제 설비 중 고도화 설비의 비중을 나타냅니다[1].
- 고도화율이 높을수록 정유사의 수익성과 경쟁력이 향상됩니다[1].
5. **산업 동향**
- 국내 정유사들은 지속적으로 고도화 설비에 투자해왔으며,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의 고도화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2].
- 최근 ESG 경영과 친환경 트렌드로 인해 새로운 고도화 설비 투자는 감소하는 추세입니다[2].
고도화공정은 정유 산업의 핵심 기술로, 원유의 활용도를 높이고 정유사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itations:
[1] https://kayd-breakjob.tistory.com/36
[2] https://kbthink.com/main/dictionarylist/dictionaryview.html?dictId=KED-00006661
[3] https://plant-engineer.tistory.com/8
[4] https://huge-economy.tistory.com/134
[5] https://enertravel.tistory.com/entry/%EC%9B%90%EC%9C%A0-%EC%A0%95%EC%A0%9C-%EA%B3%B5%EC%A0%95-%EC%84%9D%EC%9C%A0-%EC%83%9D%EC%82%B0-%EA%B3%B5%EC%A0%95-%EC%A2%85%EB%A5%98-%EC%9B%90%EB%A6%AC%EC%99%80-%EA%B0%9C%EB%85%90-%EC%A0%95%EB%A6%AC
[6] https://gscaltexmediahub.com/energy/energy-encyclopedia/video-ar-cracker-201912/
[7] https://huge-economy.tistory.com/119
[8] https://enertravel.tistory.com/entry/5-CDU-%EA%B3%B5%EC%A0%95-%EC%83%81%EC%95%95%EC%A6%9D%EB%A5%98%EA%B3%B5%EC%A0%95
=======
고도화설비를 추가로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은 매우 큰 규모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막대한 투자 규모**
- 고도화설비 투자비는 동일한 규모의 원유정제시설 투자비의 약 10배에 달합니다[1].
- 투자 규모는 수천억 원에서 수조 원에 이릅니다[2].
2. **구체적인 투자 사례**
- GS칼텍스: 2011년부터 24개월간 총 1조 3000억 원을 투자하여 VGOFCC 시설을 완공했습니다[1].
- GS칼텍스: 2004년부터 현재까지 고도화시설에 총 5조 원을 투입했습니다[1].
- 에쓰오일: 2011년부터 2018년까지 고도화 설비 투자에 6조 3000억 원을 사용했습니다[3].
3. **장기적인 투자**
- 정유사들은 지난 7년간 시설투자비 20조 원 중 10조 원 이상을 고도화 설비 증설에 투입했습니다[1].
4. **투자 결정의 어려움**
- 부가가치가 높은 만큼 투자비도 막대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기가 쉽지 않습니다[2].
5. **최근 투자 동향**
- ESG 경영과 친환경 트렌드로 인해 2018년 이후 새로운 고도화 설비 투자는 감소하는 추세입니다[3].
이처럼 고도화설비 추가 설치에는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지만, 정유사들은 정제마진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러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해 왔습니다.
Citations:
[1] https://www.energ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83
[2] https://m.ekn.kr/view.php?key=83004
[3] https://kbthink.com/main/dictionarylist/dictionaryview.html?dictId=KED-00006661
[4]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32131
[5] https://kayd-breakjob.tistory.com/36
[6] https://huge-economy.tistory.com/134
[7] https://www.petroleum.or.kr/industry/story_2_3
[8]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1257717_4627.html
'산업공부 > 석유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도화설비 (0) | 2024.09.25 |
---|---|
글리세린 + 염소 = ECH (0) | 2024.09.09 |
석유화학 관련 강의 동영상 (0) | 2023.06.26 |
정유 화학 산업 기초. 유안타증권 (0) | 2023.06.20 |
국제 유가 추이 : WTI, 브렌트유, 두바이유 (0)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