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자본증권은 기업이 발행하는 주식, 채권, 혼합증권 등 기존의 자본금과 달리 새로운 형태의 자본금을 모집하는 증권을 말합니다.
주식형 신종자본증권은 일반적으로 우선주, 신주인수권부사채, 신주인수권증권 등이 있습니다. 이들 증권은 기존 주식과는 다른 특별한 권리나 우선권을 부여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채권형 신종자본증권은 대출채권 증권화, 장기차입금 등이 있습니다. 이들 증권은 일반 채권과도 다르게 이자율 등이 변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혼합형 신종자본증권은 주식과 채권의 혼합형태로 발행되는 증권으로, 일반적으로 신종우선주나 전환사채 등이 있습니다.
기업은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이를 통해 기업의 성장과 이익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신종자본증권이 많이 발행될 경우, 이는 기업의 자본금이 증가하게 되므로 주주의 지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됩니다. 이는 주주에게 불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형 신종자본증권의 경우에는 발행된 우선주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에 따라 기존 주주의 권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선주가 발행된 경우에는 우선주에게 배당금 우선권이 부여되어 기존 주주의 배당금 수익률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주인수권부사채가 발행된 경우에는 향후 주식 발행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존 주식 가치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기업의 성장을 위한 자금 조달로 이루어지며, 기업의 성장이 이루어진다면 주주에게도 이익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이 적절한 자금계획을 수립하고 발행 규모를 적절히 조절하면서 주주의 이익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주주에게 불이익이 될 가능성은 있지만, 이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기업의 자금계획과 발행 규모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투자공부 > 재무제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가장 먼저 봐야 하는 항목은? (0) | 2023.03.24 |
---|---|
[재무제표] 재보험자산? (0) | 2023.03.24 |
[재무제표] 당기순이익과 연결총포괄손익에 대한 질문과 답변 (0) | 2023.03.24 |
[재무제표] 일반관리비 (0) | 2023.03.22 |
[재무제표] 매출원가율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