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재무제표 공부 썸네일형 리스트형 재무제표 - 영업이익 뽀개기 https://m.blog.naver.com/eastside811/222453461565 [투자 아카데미-재무제표 2편] 영업이익 뽀개기 - 누가 내 이익에 손을? - 영업이익(f.이효석 아카💜 알파헌터가 되기 위한 재무제표 다시 보기,, 오늘은 두번째 포스팅으로, "영업이익"편이다....blog.naver.com 더보기 재고자산 변동? https://m.blog.naver.com/eyetting/222743309193 (공유) 재무제표. 비용의 성격별분류 - 재고자산 변동의 의미https://m.blog.naver.com/vkimjc/222740773874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blog.naver.com 더보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https://1word-goodvibes.tistory.com/33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간단하게 개념만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무엇을 나타내는 용어일까? 기업은 이익을 얻기 위해서 움직인다. 이익을 얻기 위한 활동 중 기업의 투자활동과 관련되어 있다. 기업이 투자한 특정한 금융 1word-goodvibes.tistory.com 주식이나 채권을 처음 취득할 때는 회사 자산에 포함시킴. (취득해서 자산으로 인식할 때 공정가치로 측정) 취득 후 주식이나 채권의 가격의 가격이 변하면 측정을 통해 당기순이익에 반영함. 주식이나 단기채권 시세는 시시각각 변동함. 보고기간 말에 시세 변동을 당기손익에 반영해야 하는데, 금융자산을 당기손익-공정방식으로 측정한 .. 더보기 재무제표 용어 더보기 [재무제표] 비용의성격별분류 에서 재고자산변동 의 의미 https://ssul-tang.blogspot.com/2019/07/blog-post_51.html [경제] 비용의 성격별 분류에서 재고자산 변동의 의미 경제용어 정리 / 경제에 대한 이야기 ssul-tang.blogspot.com "매출원가"와 "재고자산의 변동" - 매출원가 : 매출이 일어난 상품에 대한 원가 - 제조원가 : 만든 모든 상품에 대한 원가 그래서 만든 제품 중 팔리지 않은 것은 재고에 대한 비용을 빼야함. '재고자산 의 변동' 항목이 있는 이유. 결론. 재고자산의 변동 (+) : 이번분기에 만든 것보다 더 많이 팔았다. 재고자산의 변동 (-) : 이번분기에 만든 것을 다 못 팔았다. 위의 블로그 내용 중 개념 잡기 위한 내용만 추림. 해당 블로그 읽으며 이해하면 됨. 더보기 당좌자산 (Quick Assets) ? 당좌자산(Quick Assets)은 현금,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등의 단기자산에서 재고자산을 제외한 자산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의 금융적 안정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당좌자산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좌자산 = 유동자산 - 재고자산 예를 들어, D 기업의 유동자산이 1,000만원이고 재고자산이 400만원이라면, 당좌자산 = 1,000 - 400 = 600 따라서 D 기업의 당좌자산은 600만원입니다. 당좌자산은 기업의 단기적인 상환능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당좌자산이 많을수록 기업이 급박한 상황에서도 빠르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금융적 안정성이 높아진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좌자산이 높다고 해서 항상 금융적 안정성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당좌자산을.. 더보기 당좌비율 (Quick Ratio) ? 당좌비율(Quick Ratio 또는 Acid-Test Ratio)은 기업이 당좌자산으로 유동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유동자산에서 재고자산을 제외한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좌비율 = (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 예를 들어, C 기업의 유동자산이 1,000만원이고 재고자산이 400만원, 유동부채가 500만원이라면, 당좌비율 = (1,000 - 400) / 500 = 1.2 따라서 C 기업의 당좌비율은 1.2입니다. 이 경우, 당좌비율이 1.2로 높은 편이므로 C 기업은 당기초 당좌자산으로 당기초 유동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당좌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당기초 유동부채를 상환할 수.. 더보기 유동비율 (Current Ratio) 유동비율은 기업이 당기초 유동자산으로 당기초 유동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예를 들어, B 기업의 유동자산이 1,000만원이고 유동부채가 500만원이라면, 유동비율 = 1,000 / 500 = 2 따라서 B 기업의 유동비율은 2입니다. 이 경우, 유동비율이 2로 높은 편이므로 B 기업은 당기초 유동자산으로 당기초 유동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강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이 유동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강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동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안정성이 높아진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동비율이 높으면 기..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