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1. 일본의 패망과 한반도의 광복
- 제2차 세계대전이 일본의 패배로 끝나면서 한반도는 일본의 식민지에서 벗어나 광복을 맞이함.
2. 미국과 소련의 남북한 분할 점령
- 38선을 기준으로 북쪽은 공산주의 진영의 소련군이, 남쪽은 자유주의 진영의 미군이 주둔하며 한반도를 각각 점령함.
<1948년>
1. 남한과 북한 각각의 정부 수립
- 하나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남북한에 각기 다른 정부가 세워지며 분단됨
<1950년 6월 25일>
1. 6.25전쟁 발발
- 북한의 선제공격으로 일어난 한민족 간의 전쟁으로, 우리 민족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고, 휴전선을 중심으로 남북이 완전히 분단됨.
<1972년 7월 4일>
1. 남한과 북한, 공동 성명 발표
- 한반도의 통일은 외국의 힘에 의존하지 않고 남북한이 힘을 합쳐 실현하자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함
<1985년 9월>
1. 남북 이산가족 최초 상봉
- 남한과 북한은 화해를 향한 첫 번째 단계로 이산가족 상봉을 추진하여 최초로 이산가족이 상봉하게 됨
<1991년>
1. 남,북한 UN 동시 가입
- 국제연합기구인 UN에 동시 가입하며 서로를 국제 사회의 동반조로 인정함
<1991년 4월>
1. 한본도기의 공식 사용
- 남북한이 하나의 팀이 되었음을 상징하는 한반도기가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됨
<1998년 11월>
1. 금강산 관광 시작
- 북한은 남한의 감강산 관광을 허용하며 교류를 진행함.
<2000년 6월>
1. 남한과 북한의 제1차 정상회담
- 남한의 김대중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만나 이산가족 상봉과 통일에 대한 생각을 공유함
<2004년>
1. 개성공단 건설
- 북한의 개성에 남한의 공장을 세우고 경제적 교류를 시작함
<2007년 10월>
1. 남한과 북한의 제2차 정상회담
- 남한의 노무현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만나 남북한 간 교류와 이산가족 상봉 확대에 대해 논의함
<2018년 4월>
1. 남한과 북한의 제3차 정상회담
- 남한의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만나 전쟁의 종료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을 약속함.
출처 : 설민석의 <통일 대모험 (상)>
'정보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근대 지도자 5명 순서 : 마당에 똥(덩)을 쌌더니 장이 후련하고 시원하다. (0) | 2023.08.17 |
---|---|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 (0) | 2023.05.14 |
대만과 중국 (양안관계) (0) | 2023.04.11 |
마지노선의 어원 (0) | 2023.03.23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많은 유대인을 구한 인물 (0) | 2023.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