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종교를 가지고 있지만, 두 나라는 파가 다름. 이란은 시아파, 사우디아라비아는 수니파..
파가 다르다보니 둘 사이는 거의 앙숙.
예전엔 사이가 좋을때도 있었으나
이란이 1979년 혁명을 일으키며 두 나라 사이가 틀어지기 시작.
최근까지 두 나라는 사이가 상당히 나빴음.
두 나라가 직접 격돌한 적은 없으나
대리전 형태로 시리아와 예맨에서 싸움이 벌어지는 중.
최근 두 나라가 화해의 분위기를 풍기고 있음.
이란-사우디아라비아, 오랜 앙금 풀 수 있을까.. 7년 만에 관계 복원 합의 - BBC News 코리아
이란-사우디아라비아, 오랜 앙금 풀 수 있을까.. 7년 만에 관계 복원 합의 - BBC News 코리아
중동 지역 라이벌 이슬람 국가인 이란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외교 관계를 회복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이 갈등 속 관계를 단절한지 7년 만이다.
www.bbc.com
이란 : 시아파
사우디아라비아 : 수니파
예맨에서 정부군(사우디아라비아가 지원)을 몰아낸 후티 반군 (시아파 무장단체)
2019년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석유시설 드론, 미사일 공격. 사우디는 이란을 지목. 이란은 부인.
사우디와 이란이 서로 친해질 수 없는 이유 - BBC News 코리아
사우디와 이란이 서로 친해질 수 없는 이유 - BBC News 코리아
사우디 원유 시설 공격 배후에는 이란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www.bbc.com
역사적으로 군주국이자 이슬람의 발상지인 사우디 아라비아는 스스로를 이슬람의 '지도자 국가'라고 생각
1979년 이란에서 이슬람 혁명이 일어나면서 혁명적 신권주의라는 새로운 정치 체제의 국가가 나타난다.
이란은 자국 국경을 넘어 이런 국가 형태를 퍼트려야 한다는 분명한 목표 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관계 - 나무위키 (namu.wiki)
사우디아라비아-이란 관계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정보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사를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할 연도 (0) | 2023.09.09 |
---|---|
중국 근대 지도자 5명 순서 : 마당에 똥(덩)을 쌌더니 장이 후련하고 시원하다. (0) | 2023.08.17 |
한국 근대사 연표 (0) | 2023.04.15 |
대만과 중국 (양안관계) (0) | 2023.04.11 |
마지노선의 어원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