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한자8~6급 공부

6급 10주 2일 - 개화, 개화, 강대국

開(열 개) , 花(꽃 화) , 化(될 화) , 強(강할 강) , 大(큰 대), 國(나라 국)

1. 열 개

열 개 어원

자는 ‘열다’나 ‘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자는 (문 문)자와 (평평할 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자는 나뭇가지가 일렬로 늘어선 모습을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모양자 역할만을 하고 있다. 자의 갑골문과 금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고문()에 나온 자를 보면 자에 (한 일)자와 (받들 공)자가 결합한 

형태였다. 여기서 자는 양손을 그린 것이니 자는 양손으로 빗장을 푸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자는 이렇게 문을 여는 모습에서 ‘열다’나 ‘열리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지만, 이외에도 ‘깨우치다’나 ‘시작하다’와 같은 의미가 파생되어 있다.

 

'開': 네이버 한자사전 (naver.com)

 

2. 꽃 화

꽃 화

자는 ‘꽃’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자는 (풀 초)자와 (될 화)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자는 ‘변하다’라는 뜻을 가지고는 있지만, 여기에서는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본래 소전에서는 땅속에 뿌리를 박고 꽃을 피운 모습을 그린 (꽃 화)자가 ‘꽃’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지금의 자가 모든 ‘꽃’을 통칭하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花': 네이버 한자사전 (naver.com)

 

3. 될 화, 잘못 와

 

化자는 ‘되다’나 ‘변천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化자는 人(사람 인)자와 匕(비수 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자의 갑골문을 보면 두 사람이 서로 엇갈려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산사람과 죽은 사람을 함께 그린 것이다. 자는 본래 윤회()를 표현한 것으로 자는 ‘산 사람’을 자는 ‘죽은 사람’을 뜻한다. 자에 ‘죽다’나 ‘태어나다’의 뜻이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는 ‘변천하다’나 ‘바뀌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化': 네이버 한자사전 (naver.com)

 

4. 강할 강

'強': 네이버 한자사전 (naver.com)

 

5. 나라 국

'國': 네이버 한자사전 (naver.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