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퀀트공부/자산배분공부

[자산배분] 샤프지수 : 높을수록 리스크가 적다는 뜻

샤프지수(Sharpe Ratio)는 투자자의 위험 대비 수익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샤프지수는 투자 수익률과 무위험 수익률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여, 위험 대비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샤프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Sharpe Ratio = (Rp - Rf) / σp


- Rp : 투자 수익률 (=연복리수익률)
- Rf  : 무위험 수익률 (=무위험 이자율)
- σp : 투자 수익률의 변동성(표준편차)

예를 들어, 어떤 투자자가 주식에 10%의 수익을 얻었고, 무위험 수익률이 2%이며, 주식 수익률의 변동성(표준편차)이 15%라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해당 투자의 샤프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Sharpe Ratio = (Rp - Rf) / σp
             = (10% - 2%) / 15%
             = 0.53

해당 투자의 샤프지수는 0.53입니다. 이는 해당 투자가 위험 대비 기대 수익이 0.53배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샤프지수가 높다?

리스크가 적다는 뜻. 스트레스가 덜하다는 뜻.

샤프지수는 수익 대비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높을수록 좋은 것입니다. 따라서, 샤프지수가 낮다는 것은, 위험 대비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A와 B 두 개의 투자 상품 중에서, A의 샤프지수가 0.5이고 B의 샤프지수가 1.0이라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B가 A보다 샤프지수가 높기 때문에, B가 위험 대비 더 많은 수익을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샤프지수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투자상품이 우수하다는 것은 아닙니다. 샤프지수는 투자상품의 위험성과 수익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지표이지만, 다른 요소들(예: 투자시간, 목표 수익률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샤프지수를 이용한 자산 평가는 다른 지표와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샤프지수는 투자자의 상황과 목표에 따라 달라지므로, 투자자는 자신의 상황과 목표에 맞게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