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고사.어휘

愚公移山 (어리석을 우, 공변될 공, 옮을 이, 메 산) :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愚 (어리석을 우): 어리석다, 바보, 어리석은 마음, 자기의 겸칭, 자기에 관계되는 사물에 붙이는 겸칭.
公 (공변될 공): 공변되다, 드러내다, 공적(公的), 임금, 공작(公爵).
移 (옮을 이): 옮다, 여유가 있다, 크다, 느직함, 옷의 품이 큼.
山 (메 산): 메, 산신(山神), 무덤, 절, 임금의 상(象).

https://wordrow.kr/%ED%95%9C%EC%9E%90/%E6%84%9A%E5%85%AC%E7%A7%BB%E5%B1%B1-%EC%9A%B0%EA%B3%B5%EC%9D%B4%EC%82%B0/


열자 탕문편에 나오는 "우공이산(愚公移山)" 이야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 시골에 우공이라는 노인이 살았습니다. 그의 집 앞에는 두 개의 산이 있었는데, 그 산이 너무 높아서 지나가는 사람들이 불편해했습니다. 그래서 우공이는 그 산을 옮기기로 결심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산은 매우 크고 무거워서 우공이 혼자서는 옮길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우공이는 지금이라도 옮겨야 한다는 열망과 결심을 가지고, 아들과 함께 매일 조금씩 바구니에 돌을 담아서 산에 던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본 이웃들은 우공이를 비웃었지만, 우공이는 이를 무시하고 계속해서 돌을 던지는 일을 계속했습니다.

그러던 중에 신들이 이 일을 보고 우공이의 열망과 노력을 높이 평가하여, 신들이 산을 옮겨주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를 본 우공이는 신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하면서, 이 일은 그 자신의 열망과 노력이 아닌 신들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야기의 주요 내용은, 우공이의 노력과 열망이 얼마나 강한지를 보여주는 것입니다. 우공이는 혼자서도 산을 옮기려는 열망과 결심을 가지고, 끈기있게 돌을 던지는 일을 계속했으며, 이는 그의 노력이 신들의 도움을 불러일으켰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이야기는 중국의 유명한 민담입니다.



《列子·汤问》:有愚公者,其家虽贫,自视甚高。每念“我世代居于此,而山不加增,何不移而易之?”遂决心移山。其妻曰:“子之力不及移山之半,何不止息乎?”其子曰:“盍试试手疏?”愚公鼓瑟而歌,招手自号其子曰:“来石者,吾与汝击之。”力不加倍,何有之?山虽未动,必有倾摧之势。不於一日,力不既存,心不亦灰乎?河之在右,决之在左。悠悠者,其位高矣,然而气与之俱,与之俱,其名曰“大块垒”。 ——《列子·汤问》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