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https://1word-goodvibes.tistory.com/33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간단하게 개념만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무엇을 나타내는 용어일까? 기업은 이익을 얻기 위해서 움직인다. 이익을 얻기 위한 활동 중 기업의 투자활동과 관련되어 있다. 기업이 투자한 특정한 금융
1word-goodvibes.tistory.com
주식이나 채권을 처음 취득할 때는 회사 자산에 포함시킴. (취득해서 자산으로 인식할 때 공정가치로 측정)
취득 후 주식이나 채권의 가격의 가격이 변하면 측정을 통해 당기순이익에 반영함.
주식이나 단기채권 시세는 시시각각 변동함.
보고기간 말에 시세 변동을 당기손익에 반영해야 하는데, 금융자산을 당기손익-공정방식으로 측정한 금융자산을 말함.
중간에 매각해 이익을 남길 의도가 있다면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함.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손익계정에 포함됨.
전체적인 내용은 위 블로그 참고.
[회계훑어보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이..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회계훑어보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이란?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이란? 인크로스 22년 사업보고서 중 손익계산서를 보면 영업이익은 작년 대...
blog.naver.com
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https://blog.naver.com/toms3/222000171473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지분상품) 평가손익이란 무엇인가요? (후속적으로 당기손
재무제표상 포괄손익계산서를 보다 보면 기타포괄손익 단락에서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지분상품) ...
blog.naver.com
단기매매목적인 경우에는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줄여서 FVPL 금융자산이라고 합니다)이 되고, 아닌 경우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줄여서 FVOCI 금융자산이라고 합니다)으로 지정이 가능합니다. 물론 굳이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지정하지 않고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어차피 계속 들고 있을 주식의 가격 변동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기 부담스러운 기업들을 위한 작은 배려라고나 할까요.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지분상품) 평가손익은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입니다(즉, 재분류조정하지 않는 항목입니다). 따라서 이후 처분 등을 통해 실현되더라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할 수 없죠.
결론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최초 회사가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 한 번 정한 자산의 종류는 변경시킬수 없고, 계속 해당 계정으로 계상해야 됨.
'투자공부 > 재무제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 영업이익 뽀개기 (0) | 2023.06.28 |
---|---|
재고자산 변동? (0) | 2023.05.30 |
재무제표 용어 (0) | 2023.05.11 |
[재무제표] 비용의성격별분류 에서 재고자산변동 의 의미 (0) | 2023.05.06 |
당좌자산 (Quick Assets) ? (0) | 2023.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