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좌자산(Quick Assets)은 현금,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등의 단기자산에서 재고자산을 제외한 자산을 말합니다. 이는 기업의 금융적 안정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당좌자산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좌자산 = 유동자산 - 재고자산
예를 들어, D 기업의 유동자산이 1,000만원이고 재고자산이 400만원이라면,
당좌자산 = 1,000 - 400 = 600
따라서 D 기업의 당좌자산은 600만원입니다.
당좌자산은 기업의 단기적인 상환능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당좌자산이 많을수록 기업이 급박한 상황에서도 빠르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금융적 안정성이 높아진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좌자산이 높다고 해서 항상 금융적 안정성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당좌자산을 늘리기 위해 매출채권 등의 단기자산을 증가시키면, 이를 회수하지 못할 경우 기업의 부실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좌자산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재무상태 전반을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투자공부 > 재무제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 용어 (0) | 2023.05.11 |
---|---|
[재무제표] 비용의성격별분류 에서 재고자산변동 의 의미 (0) | 2023.05.06 |
당좌비율 (Quick Ratio) ? (0) | 2023.04.08 |
유동비율 (Current Ratio) (0) | 2023.04.08 |
이자보상배율 (= 이자보상비율) ? (0) | 2023.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