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R (Price Cash Flow Ratio, 주가현금흐름배수)
PCR = 시가총액 / 영업현금흐름 = 주가 / 주당영업현금흐름
특정 기업이 얻은 영업현금흐름 1원을 증권시장이 얼마나 가격으로 평가하고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다.
투자자는 이를 척도로 서로 다른 주식의 상대적 가격을 파악할 수 있다.
PER과 매우 비슷한 지표인데, 순이익은 회계 조작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들이 기업의 순이익을 주로 보기 때문에 기업들은 순이익을 높이려고 애를 쓴다. 따라서 이보다는 조작이 덜 되는 영업이익이나 영업현금흐름을 보는 투자자들이 많다.
PCR도 PER과 마찬가지로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이다. 기본적으로 PCR이 높으면(낮으면) 당장 벌어들이는 현금은 적지만(많지만) 미래 수익 전망이 높아서(낮아서) 시장의 기대가 높다고(낮다고) 해석하면 된다.
출처 : <할 수 있다! 퀀트 투자> 강환국
PCR은 "Price-to-Cash Flow Ratio"의 약어로, 현금흐름 대비 주가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기업의 현금 흐름을 중심으로 주가를 평가합니다.
PCR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PCR = 주가 ÷ 주당 영업현금흐름
주가는 기업의 주식 가격을 의미하며, 주당 영업현금흐름은 기업의 총 현금흐름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C 회사의 현재 주가가 30달러이고, 지난 해의 총 현금흐름이 1억 달러였으며, 발행된 주식 수가 2천만 주인 경우, C 회사의 주당 현금흐름은 5달러가 됩니다.
따라서, C 회사의 PC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PCR = 30달러 ÷ 5달러 = 6
이 경우, C 회사의 PCR이 6이라는 것은 주가가 주당 현금흐름의 6배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CR은 P/E 비율과 비슷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지만, P/E 비율은 기업의 이익을 중심으로 주가를 평가하는 데 반해, PCR은 기업의 현금 흐름을 중심으로 주가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PCR은 기업의 성장률과 현금 흐름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퀀트공부 > 자산배분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배분] 3대 원칙 (0) | 2023.04.03 |
---|---|
EV , EBIT , EBITDA (0) | 2023.04.01 |
PSR (Price Selling Ratio, 주가매출액배수) (0) | 2023.04.01 |
[자산배분] VA (Value Averaging) (0) | 2023.03.31 |
GP/A (Gross Profit / Assets) = 매출총이익 / 총자산 (0) | 2023.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