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자/사자성어

13. 萬古不變(만고불변) : 오랜 세월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다는 뜻 한자 쓰는 순서는 아래 링크로 들어가서 봐. 모두 배웠던 글자이니 뜻만 알면 되겠네. 한자: 萬古不變 (만고불변) (wordrow.kr) 한자: 萬古不變 (만고불변) 萬古不變 (만고불변)의 의미: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변하지 아니함. wordrow.kr 더보기
12. 磨斧作針(마부작침) :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한자: 磨斧作針 (마부작침) (wordrow.kr) 한자: 磨斧作針 (마부작침) 磨斧作針 (마부작침)의 의미: 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음을 이르는 말. wordrow.kr 여기에 들어가서 바로 봐. 이게 아빠가 옮겨주는 것보다 더 나은듯. - 갈 마 : '돌 석'자 윗부분이 '삼 마'자인데, 칼을 갈려면 돌이 있어야 하잖아, '마'라는 소리를 내는 '삼 마'자에 뭔가를 갈기 위한 돌이 아래에 있는 글자. - 도끼 부 : '아비 부'라는 소리에 아랫부분 글자는 '도끼 근'자야. 그래서 도끼를 나타내는 '부'자가 된 것. - 바늘 침 : 바늘도 쇠니까 왼쪽에 쇠금이 있고, 바늘처럼 뾰족한 열 십자 같이 있다고 생각하면서 외워. 의 유.. 더보기
11. 杜門不出(두문불출) : 문을 막고 나가지 않는다는 뜻. 출처 : wordrow.kr 두문불출은 우리나라에서 있었던 일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고사야. 아래 내용을 읽어봐 재미있어. [백두대간 에코 트레일ㅣ덕항산 구간 역사] 두문불출을 택한 두문동인 < 백두대간 정맥 지간 < 기사본문 - 월간산 (chosun.com) [백두대간 에코 트레일ㅣ덕항산 구간 역사] 두문불출을 택한 두문동인 - 월간산시대가 바뀌었음에도 지조를 지킨 이들이 ‘두문불출杜門不出’이란 고사성어의 기원이다. 고려가 조선으로 바뀌었을 때, 지식인들은 갈등에 빠졌다. 새로운 나라에 참여할 것인가, 절개를 지san.chosun.com고려가 조선으로 바뀌었을 때, 지식인들은 갈등에 빠졌다. 새로운 나라에 참여할 것인가, 절개를 지켜 고려의 지식인으로 잔류할 것인가 하는 선택의 기로였다. 대부분 시대의 .. 더보기
10. 大同小異(대동소이) : 큰 차이가 없어 거의 같다. 작은 부분은 다르지만 큰 의미에서는 같다는 뜻 출처 : wordrow.kr 아래는 유래를 설명한 것인데.. 나중에 심심하면 한 번 열어서 봐. 이 고사성어는 그렇게 어렵지 않아서 글자만 봐도 내용이 이해가 되거든. [화상과외 공부밥] 대동소이의 뜻과 풀이, 유..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화상과외 공부밥] 대동소이의 뜻과 풀이, 유래와 응용 안녕하세요 여러분! 살면서 '대동소이'라는 사자성어, 모두 한 번쯤은 들어보셨나요? 알아두면 ... blog.naver.com 더보기
9. 大器晩成(대기만성) :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출처 : wordrow.kr大器晩成 대기만성의 유래. 위나라(魏--)의 최염(崔琰) 장군(將軍)은 대인(大人)의 기품(氣品)이 있어, 무제(武帝)의 신임(信任)이 매우 두터운 사람이었다. 그의 사촌동생에 임(林)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젊어서는 별로 명망(名望)이 없었기 때문에 친척(親戚)간에도 업신여김을 받았다. 그런데 최염(崔琰)은 그의 인물(人物)됨을 꿰뚫어 보고는 늘 「큰 종(鐘)이나 솥은 쉽게 만들지 못한다. 큰 인재(人材)도 이와 마찬가지인데, 임(林)은 대기만성(大器晩成)의 사람이니 후일(後日)에는 반드시 큰 인물(人物)이 될 것이다.」라고 말하며 그를 아끼고 도와 주었다. 과연 뒷날에 임(林)은 삼공(三公)이 되어 천자(天子)를 보필(輔弼)하는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고 한다. 더보기
8. 南柯一夢(남가일몽) : 남쪽 나뭇가지의 꿈. 욕심내서 얻은 것이 나중에는 꿈처럼 허무하게 느껴진다는 뜻 출처 : wordrow.k 아래 글은 남가일몽이라는 고사성어가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 그것을 알려주는 내용이야. 한 번 읽어봐. 고사성어 이야기 [남가일몽]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고사성어 이야기 [남가일몽] 남가일몽(南柯一夢) (요약) 남쪽 나뭇가지에 걸린 꿈이란 뜻으로 헛 된 꿈 또는 인생이나 부귀영화의 덧없... blog.naver.com 무언가를 열심히 해야 할 너희에게 지금 이 글을 알려줘야하는 것인지 조금 고민이 된다만.. 지금을, 하루하루를 알뜰히 즐겁게 살아갔으면 좋겠다. 매일을 즐거움으로 가득 채울 수 있도록 노력하렴. 게임으로 가득 채우진 말고.... 더보기
7. 近墨者黑(근묵자흑) :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어진다.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나쁜 버릇에 물들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출처 : wordrow.kr검은 것을 가까이 하면 검어진다다는 뜻 사람은 주위 모습에 닮아가니까 나쁜 사람과 친하게 지내지 말라 이 말은 친구를 사귈 때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야. 성격이 나쁘고 나쁜짓을 하는 아이들과 놀다보면 너희도 어느순간 그 친구와 똑같은 짓을 하게 될수도 있거든. 그러니 그런 친구들과는 처음부터 어울리지 않는것이 좋아. 아빠는 너희가 건강하게 자라는 것을 가장 바라지만, 그렇게 자라면서 마음도 건전하고 바른 아이로 자라기를 바란단다. 더보기
6. 勸善懲惡(권선징악) :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일을 징계함. 출처 : wordrow.kr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일을 징계함. 우리나라의 동화들은 권선징악 하는 내용이 많아. 착하고 열심히 살면 복을 받고, 악하고 게으르게 살면 화를 입는다는 이야기. 실제도 그러면 좋겠지만, 이건 딱 맞지는 않단다. 착하게 열심히 살아도 생각 없이 열심히만 살면 몸이 힘들기만할 뿐 풍요로움을 누릴수는 없거든. 풍요롭게 살고싶다면 생각이 필요해.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고, 사람들이 원하는게 무엇일지 생각하고 그것을 제공하는 사람이 되어야 풍요롭게 살 수 있어. 이런것을 보면 아빠는 아직 그걸 찾지 못했기에 너희에게 풍요로움을 주지 못하는게 아닐까 싶어. 너희는 그냥 되는대로 세상을 살지 말고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그것에서 뭔가 느끼고 깨달아 남들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