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재무제표 공부

[재무제표] 재고자산 회전율

재고자산 회전율은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재고자산을 얼마나 판매하고 새로운 재고를 구매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를 통해 기업의 재고 관리 능력과 판매 활동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 계산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연초와 연말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연초와 연말의 재고자산을 측정하여 이를 평균화한 값을 재고자산 회전율을 계산하는 데 사용합니다.

1. 연초 재고자산 측정
연초 재고자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연초(1월 1일 혹은 12월 31일 이전)의 재고자산을 측정합니다. 이는 보통 기업의 재무제표의 자산 부분에 해당하는 항목입니다. 재고자산은 원자재, 반제품, 완제품 등 기업이 보유한 재고의 가치를 합산하여 산출합니다.

2. 연말 재고자산 측정
연말(12월 31일 혹은 연말 바로 직전)의 재고자산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연말의 재고자산을 측정합니다. 이 또한 재무제표의 자산 부분에 해당하는 항목입니다. 연말 재고자산도 연초와 마찬가지로 원자재, 반제품, 완제품 등 기업이 보유한 재고의 가치를 합산하여 산출합니다.

3. 평균 재고자산 측정
연초 재고자산과 연말 재고자산을 합산하고 2로 나누어서, 평균 재고자산을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 전년도 동안 어느 정도의 재고를 유지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4. 재고자산 회전율 계산
평균 재고자산을 이용하여, 재고자산 회전율을 계산합니다. 이는 기업이 재고자산을 얼마나 빠르게 판매하고 새로운 재고를 구매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재고자산 회전율은 기업의 판매 활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고자산 회전율 = 총 매출액 ÷ 평균 재고자산

재고자산 회전율을 계산할 때, 총 매출액은 기업이 해당 기간 동안 영업한 총 매출액을 의미합니다.


재고자산 계산 예시) 
한 전자제품 제조업체가 1년 동안 재고자산을 5억원 보유하고 있으며, 1년간 판매액이 20억원이고 매입액이 15억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이 기업의 재고자산 회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재고자산 회전율 = 총 매출액 ÷ 평균 재고자산
= (20억원 + 0원) ÷ (5억원 ÷ 2)
= 8회

따라서 이 기업은 1년 동안 재고자산을 8회 판매하고, 평균 재고자산을 2,500만원 정도 유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지표를 통해 이 기업의 재고 관리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재고를 빠르게 판매하고 새로운 재고를 구매하는 데에 성공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기업이 재고자산을 활용하여 매출을 높이고 수익을 창출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높은 재고자산 회전율은 기업이 재고를 빠르게 판매하므로 재고자산 회전주기가 짧아지게 됩니다. 이는 기업이 재고를 보유하고 있을 때 발생하는 비용(저장비용, 보험료 등)을 줄일 수 있고, 재고자산을 유동화하여 현금 흐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고자산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매출 증대를 위한 마케팅이나 판매 전략, 생산능력 등을 잘 조절하고 관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반대로, 재고자산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기업이 재고를 빠르게 판매하지 못하고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기간이 길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의 재고자산 회전주기가 길어지게 되어 재고 자산을 보유하는데 발생하는 비용이 높아질 수 있으며, 재고자산의 유동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은 적정 수준의 재고자산 회전율을 유지하기 위해 재고를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고, 재고자산의 회전율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개선해나가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