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est Coverage Ratio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즉 과연 이 회사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할 수 있는가, 감당한 후 얼마나 여유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지표이다.

이자보상비율이 1이면 영업활동에서 창출한 돈을 이자지급비용으로 다 쓴다는 의미. 이자보상비율이 1보다 클 경우 해당 기업은 자체 수익으로 금융비용을 능히 부담하고 추가 이익도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기업의 이자지급 능력이 충분하다는 뜻이다.
반대로 1보다 작다는 것은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창출한 이익을 갖고 대출금이나 기발행 회사채에 대한 이자 등 금융비용조차 감당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자를 지급하기 위해 또 다시 자금을 차입해야 하는 상태인 셈.
영업이익이 적자인 경우 이자보상비율은 당연히 1이하가 되며,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볼 수 있다.
통상 1.5배 이상이면 이자지급 능력이 충분하다고 본다.
출처 : 네이버사전
728x90
'투자공부 > 재무제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좌비율 (Quick Ratio) ? (0) | 2023.04.08 |
---|---|
유동비율 (Current Ratio) (0) | 2023.04.08 |
[재무제표] 재고자산 회전율 (0) | 2023.04.05 |
매출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0) | 2023.04.03 |
[재무제표] 대손충당금 ? (0)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