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퀀트공부

[자산배분] 표준편차 : 분산의 정도. 작을수록 데이터가 평균 주변에 모여 있음 (변동성 적다는 것)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는 통계학에서 주어진 데이터 집합의 분산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즉, 데이터가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멀리 흩어져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데이터가 평균 주변에 모여 있고, 크면 데이터가 분산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수학 시험에서 A반과 B반의 평균은 같지만 A반의 점수가 더 넓게 분포되어 있다면, A반의 표준편차가 B반보다 크게 나타납니다. 표준편차는 투자 수익률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도 사용됩니다.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준편차 = √(Σ(각 수익률 - 평균 수익률)^2 / 수익률 개수) 여기서, Σ는 합을 의미하며, 수익률 개수는 투자 기간 동안의 수익률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 더보기
[자산배분] 샤프지수 : 높을수록 리스크가 적다는 뜻 샤프지수(Sharpe Ratio)는 투자자의 위험 대비 수익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샤프지수는 투자 수익률과 무위험 수익률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여, 위험 대비 수익성을 나타냅니다. 샤프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Sharpe Ratio = (Rp - Rf) / σp - Rp : 투자 수익률 (=연복리수익률) - Rf : 무위험 수익률 (=무위험 이자율) - σp : 투자 수익률의 변동성(표준편차) 예를 들어, 어떤 투자자가 주식에 10%의 수익을 얻었고, 무위험 수익률이 2%이며, 주식 수익률의 변동성(표준편차)이 15%라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해당 투자의 샤프지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Sharpe Ratio = (Rp - Rf) / σp = (10% - 2%) / 15% = 0.. 더보기
[자산배분] 정적 자산배분 정적 자산배분(Static Asset Allocation)은 투자자가 특정 자산 클래스(예: 주식, 채권, 현금 등)에 일정 비율로 자산을 배분하여 투자하는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과 채권을 60:40 비율로 배분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 투자자는, 해당 비율을 유지하며 투자를 진행합니다. 정적 자산배분은 자산을 배분하는 비율이 일정하기 때문에, 투자자의 상황이나 시장 상황에 따라 자산배분 비율을 조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적 자산배분은 투자자의 상황과 목표에 맞게 자산배분 비율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적 자산배분은 투자자가 투자 자산 클래스의 특성을 파악하고, 목표 수익률과 위험성을 고려하여 자산배분 비율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은 고수익 고위험 자산으로, 채권.. 더보기
[자산배분] 동적 자산배분 동적 자산배분(Dynamic Asset Allocation)은 투자자의 상황에 따라 자산배분 비율을 조정하는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과 채권을 50:50 비율로 배분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 투자자가, 주식 시장이 상승하면 주식 비중을 늘리고, 하락하면 채권 비중을 늘리는 식으로 자산배분 비율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동적 자산배분은 정적 자산배분(Static Asset Allocation)과 달리, 투자자의 상황에 따라 자산배분 비율을 조정하기 때문에, 수익률과 위험성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투자자가 주식과 채권을 각각 50%씩 배분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투자자는 주식 시장이 상승하면 주식 비중을 늘리고, 주식 시장이 하락하면 채권 비중을 늘리는 동적 .. 더보기
[자산배분] CAGR (연복리수익률)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는 특정 기간 동안 투자한 자산의 연평균 수익률을 의미합니다. CAGR은 투자 수익률이 연복리로 계산될 때의 평균 수익률을 나타내기 때문에, 단순 평균 수익률보다 신뢰성이 높은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투자자가 2015년 1월 1일에 1,000만원을 투자하고, 2020년 12월 31일에 1,500만원으로 수익을 얻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경우, 해당 투자의 CAG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CAGR = {(최종 자산 / 초기 자산) ^ (1 / 투자 기간)} - 1 = {(1,500 / 1,000) ^ (1/5)} - 1 = 0.1072 = 10.72% 따라서, 해당 투자의 CAGR은 10.72%입니다. 이는 해당 투자의 수익률이 5년간 .. 더보기
[자산배분] MDD (Maximum DrawDown) MDD = (최저가/최고가) - 1 = (최저가 - 최고가) / 최고가 MDD(Maximum Drawdown)는 주식 등의 금융 자산의 위험성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MDD는 특정 기간 동안 포트폴리오의 최고점에서부터 최저점까지의 가장 큰 손실을 의미합니다. 즉, MDD가 클수록 해당 자산의 가격 변동폭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주식의 최고가가 100원이고, 그 이후 가격이 70원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90원까지 상승한 경우, 해당 주식의 MDD는 30%입니다. 이는 최고가 대비 30% 이상의 손실이 발생했음을 의미합니다. MDD는 투자자가 자산을 평가하고, 투자 전략을 세울 때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투자자는 MDD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산배분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 더보기